목록중국,쭝궈,듕귁 (41)
theZINE
탄징의 죽음과 관련한 잘못된 소문과 광풍이 사그라드는 듯 하다. 중국의 포털 사이트 sina.com에 올려진 한 보도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 '탄징의 가족과 친지들은 이번 사건에 대해 아주 비통해하고 있다. 탄징의 추도회에는 탄징의 친구들도 초대를 받았다. 기자는 탄징의 어머니, 탄징의 친구였던 아홍, 그리고 사건 당시 현장에 있었던 김씨와 이씨와 이야기를 나누거나 소식을 들었다. 인터넷에 탄징이 성매매를 했다는 잘못된 소문 외에도 온갖 근거 없는 이야기들이 떠돌았다. 기자 역시 경찰과 관련자들의 잘못된 이야기 때문에 일부 소문을 사실로 잘못 알고 보도한 바 있다. 한 친구는 "탄징이 최근 어떤 심정이었는지는 어머니가 가장 잘..
요즘 들어 메신저에 등록된 중국 사람들의 대화명에 똑같은 부분이 눈에 띈다. 티벳 문제에 대한 서방의 반응 때문이다. 어떤 중국인들은 이번 문제를 서구 열강이 중국을 분할해서 지배했던 19세기 후반, 20세기 초반의 상황에 빗대기도 한다. 티벳 문제에 사람들이 주목한 이후 중국인들은 방어 본능적으로 반격을 시작했다. 주된 대상은 프랑스와 미국이다. 일단 미국은 CNN이 티벳의 시위에 대한 소식을 많이 전했고 그 중에는 비판적인 내용도 많았다. 뉴스 매체라는 속성 때문일 수도 있고 일부 진행자의 과격한 발언(중국상품은 쓰레기junk이고 그들은 도둑떼들goons and thugs) 때문이기도 하다. 프랑스에서는 올림픽 성화가 3번이나 꺼졌다. 덕분에 프랑스계 기업인 까르푸 불매 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까르푸..

중국 연예인 '탄징'이라는 사람이 사망한 사건에 대해 한국과 중국의 인터넷이 또 한차례 후~끈 달아올랐다. 속옷 차림으로 아파트 난간에서 사체로 발견된 터라 사망 원인이 아직 불분명하고 한 자리에 있던 사람들이 한국 사람들이었기 때문에 중국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한 것이 아닐까. 인터넷에서 접한 관련 동영상 화면을 캡쳐한 사진이다. 위에서 보듯 사체는 아파트의 중간 중간에 가로로 놓여있는 기둥 같은 부분에 걸려있었다. 탄징이 추락한 창문은 여자의 허리 정도로 낮은 위치에 있었다고 한다. 인터넷 기사에 등장한 관련 사진에는 사체가 이 난간(이라고 하기엔 불명확하고 '가로 기둥'이라고 해야 하나)에 걸린 모습이 아니라, 사체를 줄에 매달아 아래로 내려보내는 장면이 처음 등장했었다. 씁쓸했던 장면은 이 동영상..
오늘은 청명절이다. 밤낮의 길이가 같다는 '춘분'과(실제론 낮이 조금 더 길다 함. 빛의 굴절 때문.) 비가 내려 곡식이 윤택해진다는 '곡우'의 사이에 있다. 대체로 24절기는 춘추분이나 동지 하지처럼 날씨와 시기와 관련이 있지만 청명절은 조금 다르다. 이 날에는 조상에 제사를 지내고 무덤가를 찾아 벌초를 하거나 가짜 종이돈을 태운다고 한다. 중국에서 지낼 때 이해가 가지 않았던 점이 추석(중추절)에 쉬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음력설과 함께 가장 큰 명절이 아닌가. 하지만 올해부터는 청명을 포함해 중추절, 단오절이 모두 휴일로 바뀌었다. 작년까지는 춘절 외에 노동절 연휴, 국경절 연휴 등 장기 연휴 외에는 휴일이 거의 없었다. 그렇다보니 장기 연휴 시기에는 비행기표, 기차표, 호텔 구하기가 ..
출장 일정 마지막에 시간이 하루정도 남았다. 어차피 한국에 돌아오는 비행기도 상해에서 출발하는 비행기여서 상해에서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그래봐야 딱히 할 일도 없어서 어딜 가거나 하진 않았고 전철을 타고 가며 찍은 사진 몇 장 올린다. 어쩌면 지난 출장 사진을 올릴 때도 올렸을지 모른다. 전철을 타고 갈 때 늘 지나치는 한 부자 아파트의 모습. 아파트 단지 안에 요트 선착장이 있고, 강의 지류를 타고 바다까지도 나아갈 수 있다. 상해의 '황푸강'으로까지 나갈 수 있을 거다 아마. 이 사진은 지난 번에 올렸던 사진. 역시 전철 타고 가면서 보이길래 찍은 사진이다. 상해기차역을 지나칠 때쯤이면 저 멀리 있는 이 건물들이 보인다. 동그란 구조물이 특이한 '동방명주'는 방송탑으로도 쓰였다는데 지금은 관광지로..

홍콩 → 심천 → 광주 → 하문 → 온주 → 닝보 → 소주 → 상해 입출국 포함해서 비행기 4번, 기차 2번, 버스 3번을 타고 돌아다녔다. 출장을 대비해서 여행용 가방도 좀 더 큰 걸로 준비를 했었는데 역시나 유용했다. 자바라물통처럼 크기를 늘릴 수 있는 구조인데 돌아올 때는 가방을 빵빵하게 가득 채워서 왔다. 여기저기서 받은 선물들은 박스를 모두 버리고 알멩이만 남겨서 가져왔다. 조그만 찻잔 세트인데 박스는 어찌 그리 큰지. 술병도 케이스를 버리고 녹차는 박스를 버리고 비닐팩만 가져왔다. 일정을 마치고 상해에서 하룻밤을 자고 어제 집에 왔다. 오늘 집에 가면 어제 미처 돌리지 못한 빨래를 돌려야 한다. 냉장고에 있던 상한 우유와 음료수는 어제 비워놓았다. 정리를 마치고 술병과 찻잔세트를 보관해두고 샤..

중국 검색엔진으로 자료를 검색을 하다가 위와 같은 그림을 본 적이 있다. 그대로 읽으면 '기독산 백작'. 이리저리 생각을 해보니, '기독'은 크리스트의 한자 음차다. '산'은 Mt.이니까... 하는 식으로 추측을 해보니 '몬테 크리스토 백작'이라는 추측. 역으로 '기독산 백작', '기독산'으로 검색을 해봤다. 이것 저것 파편을 모아보니 몬테 크리스토 백작이 맞다. '기독산'의 중국어 발음은 ji du shan이다. 몬테 크리스토 백작을 쓴 알렉산더 뒤마는 자신의 작품이 '지두샨 보주에'로 불릴지 전혀 생각도 못했을 거다. 그러고 보니 '쇼생크의 탈출'에서 알렉산더 뒤마의 책을 집어든 죄수가 Dumas(뒤마)를 보고는 어떻게 읽는지 쳐다보다가 '덤... 더마스... 덤애스(dumb ass;멍청한 놈)?' ..

중국인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야 그 인구만큼이나 다양하지만 가장 두드러진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상술(商術)이다. 흥정하고 물건을 사고 팔고 돈을 버는 기술. 오래 전 미국에 배낭여행을 가서 미국의 여러 도시들을 다녔다. 그때 가는 도시마다 목이 좋은 중심가에는 중국인이 운영하는 가게들이 있었던 기억이 난다. 보스턴의 번화가에 커다란 나이키 매장은 건물 전체가 매장이었는데 종업원들이 거의 중국인인 것 같았다. 중국 사람이 워낙 세계 곳곳에 없는 곳이 없어서 그 중에는 장사로 성공한 사람들도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뭔가 특별한 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중국 사람들이 많이 하는 인사가 '꽁시 파차이(恭喜 發財gong xi fa cai)'다. '꽁시'는 축하한다는 의미이고 '파차이'는 돈을 번다는 뜻. 그..

6월 9일 정도, 중국 출장을 가기 직전 무렵에 PD수첩인지 2580인지, MBC에서 중국의 빈부격차를 조명하는 방송을 한 적이 있다. 시골에서 상해로 와서 힘든 일을 하며 돈을 버는 아줌마 자매의 힘든 생활과, 상해 최고의 부자들의 사교 클럽의 모습을 교차편집해서 중국의 빈부격차를 극명하게 드러내고자 했던 프로그램. 1억위안(약 130억원) 이상의 재산가 수천명 중에서 고위공직자의 가족이나 자녀 같은 관계자가 2/3에 달 하는가 하면, 위 사진처럼 '민공(民工)'이라 불리는 노동자들은 한 달 십여만원의 수입을 위해 안전장비도 없는 공사현장에서 목숨을 걸고 일을 하고 있다. 거액을 모은 부자들의 대부분은 부동산 개발로 돈을 벌었고 그외 일부만이 벤처사업가다. 반면 시골에서 올라온 가난한 노동자들은 힘들게..

인천에 일본 거리를 조성한다고 한다. 개항기, 일제 강점기 시절 일본인들이 치외법권을 누리며 살았던 곳을 재현하고 새단장했다고 한다. 일단 관련 기사는 아래 사진과 링크를 참조하시라. http://news.naver.com/hotissue/ranking_read.php?ranking_type=popular_day&date=2007-03-02§ion_id=115&office_id=214&article_id=0000033804&seq=1 기사를 읽으니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상해의 와이탄(외탄外灘)이다. 상해가 독일, 영국, 일본 등 19세기 후반 강대국에 의해 분할 점거되었을 당시, 상해는 몇 개 구역으로 나뉘어있었다. 각 강대국은 자신의 영역을 정해놓고 거의 자기 나라 땅처럼 그 땅 안에서는 자..